설정 전에 xev를 실행시켜서 한영키, 한자키의 keycode를 알아낸다.
(내 노트북의 keycode는 한영키 : 113, 한자키 : 109였다.)
sudo setkeycodes 71 113
sudo setkeycodes 72 109
xmodmap -e "keycode 113 = Hangul"
xmodmap -e "keycode 109 = Hangul_Hanja"
그리고 ~/.Xmodmap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한다.
keycode 113 = Hangul
keycode 109 = Hangul_Hanja
* 부팅할 대 적용하기
/etc/init.d/setkeycodes라는 파일을 만든다.
setkeycodes 71 113
setkeycodes 72 109
실행 퍼미션을 주고,
서비스에 등록 시킨다.
sudo update-rc.d setkeycodes start 99 5 .
(맨 끝에 "."에 주의)
ubuntu 14.04 부터 변경 사항
* ubuntu 14.04부터는 xmodmap에 대한 사용이 중단 되었다. 대신 xkb을 사용하는데, 이와 관련 된 파일들은 /usr/share/X11/xkb 에 있다.
* 한글키가 Alt_R로 인식 될 때의 변경 방법
- xev로 한영키가 Alt_R로 인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.
- 관련 파일
- /usr/share/X11/xkb/symbols/altwin
- 수정 위치
// Meta is mapped to second level of Alt keys.
partial modifier_keys
xkb_symbols "meta_alt" {
key <LALT> { [ Alt_L, Meta_L ] };
key <RALT> { type[Group1] = "TWO_LEVEL",
symbols[Group1] = [ Alt_R, Meta_R ] };
modifier_map Mod1 { Alt_L, Alt_R, Meta_L, Meta_R };
// modifier_map Mod4 {};
};
- 수정 내용
- Alt_R, Meta_R을 Hangul로 변경해 준다.
- 파일 수정 후 /var/lib/xkb/ 디렉토리 아래 파일들을 모두 지워 준 후 재부팅 한다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gg 스트리밍서버 icecast2 구축하기 (0) | 2006.10.12 |
---|---|
[ubuntu] MPD- Music Player Daemon (0) | 2006.10.11 |
[VIM] 지역변수 찾아가기 - gd (0) | 2006.09.13 |
간편설정도구 (0) | 2006.09.08 |
[VIM]vbnet용 syntax - vbnet.vim (0) | 2006.09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