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s3c6410] busybox의 telnetd 을 사용해 보자
임베디드/S3C6410 2011. 3. 14. 17:05
- 버젼 : 1.18.0
- 사전 확인 사항 :
- 커널 옵션에서 Device Drivers -> Character devices -> Unix98 PTY support 항목이 선택 되었는지 확인(Support multiple instances of devpts 마찬가지)
- busybox 설정에서 확인
- CONFIG_LOGIN=y
- CONFIG_FEATURE_SUID=y
- CONFIG_TELNETD=y
- 타겟보드 부팅 후 작업
- mount -t devpts devpts /dev/pts
- mount 되었는지 확인해 보자
-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하려면 /etc/fstab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 주자
- devpts /dev/pts devpts default 0 0
- ptyp0~9번까지 생성
- mknod /dev/ptyp0 c 2 0
- ~
- mknod /dev/ptyp9 c 2 9
- /etc/nsswitch.conf 파일 내용이 아래와 같은지 확인.(틀리면 수정)
- passwd: files
- group: files
- shadow: files
- telnet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추가 하자.
- adduser -h /home/user user
- 사용자가 추가 되었는지 /etc/passwd, /etc/shadow 을 확인하자.
- 램디스크인 상태라면 다음 재부팅 할 때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초기화 될 것이다. 이걸 해결하려면 좀 전에 추가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/etc/passwd, /etc/shadow에서 복사해서 호스트에서 구축하는 램디스크에 동일한 파일에 동일한 내용으로 추가해 주면 된다.
- /etc/services, /etc/protocols, /etc/securetty 파일이 존재 하는지 확인, 없으면 호스트에 있는 파일들을 타겟에 넣어준다.
- /etc/securetty 파일 안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넣어준다.
- ttyS0
- ttyS1
- ttyS2
- ttyS3
- tty1
- tty2
- tty3
- tty4
- pts/0
- pts/1
- pts/2
- pts/3
- pts/4
- pts/5
- pts/6
- pts/7
- pts/8
- pts/9
'임베디드 > S3C6410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3c6410] linux kernel bootloaod 만들기 (0) | 2011.04.25 |
---|---|
[s3c6410] ez-s3c6410 bootloader logo 설정 (0) | 2011.04.22 |
[s3c6410] falinux ez-s3c6410 자동 로그인 (0) | 2011.04.01 |
[s3c6410] SDL + tslib 환경 설정값 (0) | 2011.03.15 |
[S3C6410,Android] tslib 포팅 for Android (0) | 2011.03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