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buntu에 xgl설치하기
리눅스 2006. 6. 26. 20:48
XglHowto
comment by shellbt
# ubuntu 포럼에서 뜯어온 내용이다.
# 이 내용데로 하니, x서버 돌때, 여러가지 의존성에 걸려서 돌아가시는게, 설정 내용
# 중에 빠진 부분이 있는 거 같다.
# (귀찮아서, 재도전은 포기....안정화 될때까지 기달릴련다, 아님 looking Glass를 해보던지..)
2006년 2월 25일에 Ubuntu deb을 사용하는 방법이 번역되었고, 4월 20일에 Quinn's deb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우분투 위키의 링크를 적어 놓았습니다. -atie
XGL을 사용하면서 VM으로 윈도우설치후 그래픽 작업시 딜레이가 생기게 됩니다-Danzy
Kubuntu혹은 KDE사용자의 경우에는 compiz-kde패키지를 깔고 적용시키면 title bar가 안나오는 버그가 있습니다. 그냥 compiz-gnome을 사용하시고, gdm을 까셔서 사용하시면 사용은 가능합니다만, kicker에 들어가야할 tray 아이콘이 들어가지 않는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. compiz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gnome환경이 좋은것 같습니다. -nahs-
comment by shellbt
# ubuntu 포럼에서 뜯어온 내용이다.
# 이 내용데로 하니, x서버 돌때, 여러가지 의존성에 걸려서 돌아가시는게, 설정 내용
# 중에 빠진 부분이 있는 거 같다.
# (귀찮아서, 재도전은 포기....안정화 될때까지 기달릴련다, 아님 looking Glass를 해보던지..)
2006년 2월 25일에 Ubuntu deb을 사용하는 방법이 번역되었고, 4월 20일에 Quinn's deb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우분투 위키의 링크를 적어 놓았습니다. -atie
[edit]
Quinn's deb을 사용할 때 #
우분투 xgl/compiz 관련 deb은 Quinn의 deb 보다는 버전이 뒤쳐져 있습니다. Quinn의 deb은 freedesktop.org의 xgl 관련 CVS를 가지고 만든 xgl.compiz.info의 deb과 같이 쓸 수 있도록 compiz 관련 버그 픽스를 하여 내 놓기기에 deb으로 만들어진 가장 최신의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Quinn's deb의 설치와 설정에 대한 것은 우분투의
QuinnsXglAndCompizHowto를 보시기 바랍니다. Nvidia 와 ATI 그래픽 카드에 따라 /etc/gdm/gdm.conf-custom 설정이 다르다는 것을 주의하시고, 제 경우에는 위키의 compiz.sh의 내용을 /usr/local/bin/에 넣은 대신에 ~/.gnomerc에 다음과 같이 적어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.
![[https]](http://www.ubuntu.or.kr/ubuntu/imgs/https.png)
gnome-window-decorator & compiz --replace gconf &
위키에서는 gconf 설정을 위한 명령을 사용하였는데, 위의 compiz --replace gconf 명령이 제대로 동작을 하려면 플러그인들의 순서를 정확히 따라주어야만 합니다. 명령 대신에 GUI로 할 수 있는 gconf-editor를 쓰는 것과 gset-compiz (compiz 설정 GUI 도구) 를 쓰는 것은
compiz 포럼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.
![[http]](http://www.ubuntu.or.kr/ubuntu/imgs/http.png)
모든 그래픽 카드에 동작을 한다고 보장을 할 수 없는 개발 단계이니, X가 부팅 안되는 등의 문제를 대비하여 본인이 할 작업을 충분히 이해하고 잘못될 경우를 대비하여 무슨 파일을 다시 변경해 놓아야 할 지 원래의 설정 파일을 복사하여 놓고 필요한 작업을 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, compiz 플러그인들의 단축키는 우분투
compiz 위키를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고, 경우에 따라 윈도우즈 키 등이 동작하지 않는 것은
![[https]](http://www.ubuntu.or.kr/ubuntu/imgs/https.png)
/etc/gdm/PostLogin/Default 파일에등과 같이 본인의 키보드에 맞는 설정값을 추가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위의 compiz 포럼에 관련 내용이 있는지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.
xmodmap /usr/share/xmodmap/xmodmap.us
xmodmap -e "keycode 115 = Super_L" # Bind left and right keycodes to Super_L/R
xmodmap -e "keycode 116 = Super_R"
xmodmap -e "add Mod2 = Super_L" # I guess Mod2 means Super (Mod3 for Hyper)
xmodmap -e "add Mod2 = Super_R"
우분투 대퍼에서 XGL을 어떻게 동작시키는 방법을 적은 문서 입니다. 대퍼 이전 버전에서는 대량의 재 컴파일과 많은 것을 수동 설치해야만 동작을 시킬 수 있으므로 시도를 하지 마십시요.
이 문서는 Matthew Garrett가 패키징 한 대퍼의 XGL과 그가 썼던 이메일을 기본으로 작성 되었습니다. 그에게 고맙다는 이야기를 합니다.
- 현재 나이데브(nidev)가 부족하지만 Xgl스크린샷을 준비했습니다.
XGL을 사용하면서 VM으로 윈도우설치후 그래픽 작업시 딜레이가 생기게 됩니다-Danzy
- 유니버스 저장소를 활성화 시킵니다. (/etc/apt/sources.list에 dapper universe를 포함하여 편집 합니다.)
- xgl 관련 패키지를 다음과 같이 설치 합니다.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libgl1-mesa libglitz1 libglitz-glx1 xserver-xgl
- compiz 관련 패키지를 다음과 같이 설치 합니다. KDE/GNOME 데스크탑에서 따라 적절히 선택 하십시요.
sudo apt-get install compiz-gnome또는
sudo apt-get install compiz-kde(역자주: KDE 데스크탑에서는 제대로 동작을 시키기 어려우니 이 글을 참조하여 본인의 책임하에 하시기 바랍니다.)
- X 의 symlink를 다음과 같이 바꾸어 줍니다.
sudo ln -sf /usr/bin/Xgl /etc/X11/X
-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고, gdm을 재 시작 합니다.
sudo /etc/init.d/gdm restart
- 로그인을 한 후, 터미널에서 compiz와 Gnome window decorator 을 실행 합니다. (sudo를 사용하지 마십시요.)
compiz --replace gconf decoration wobbly fade minimize cube rotate zoom scale move resize place switchercompiz-gnome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gconf는 위의 명령에서 제외 합니다.
nohup gnome-window-decorator &
- 로그인을 할 때마다 위의 명령을 실행 하려면, 위의 명령들을 ~/.gnomerc 에 넣어 줍니다.
echo "compiz --replace gconf decoration wobbly fade minimize cube rotate zoom scale move resize place switcher" >> ~/.gnomerc
echo "nohup gnome-window-decorator &" >> ~/.gnomerc
* 기존의 X 로 되 돌리는 것은
- ~/.gnomerc 에 추가했던 명령들을 삭제 합니다.
- X의 symlink를 다음과 같이 되돌립니다.
sudo ln -sf /usr/bin/Xorg /etc/X11/X
-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gdm을 다시 시작 합니다.
sudo /etc/init.d/gdm restart
위에 적은 것처럼, 이 패키지들은 무척 실험적입니다. 만약 프로그램이 이유없이 죽는다고 해도, 놀라지 마십시요. 버그를 보고 하시면, 업스트림에 전달이 될 것 입니다. 만약 동작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역시 놀라지 마십시요. 만약 그래픽 카드를 위해 바이너리 드라이브를 쓰는 경우는, 문제가 더 복잡하고 이상 동작이나 원하지 않는 결과가 나올 경우가 더 많이 있습니다. (역자 주: nvidia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, 성공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우분투 포럼에서 볼 수 있습니다. 역자는 위의 방법으로 ?GeForce4 420 Go 32M에서 성공을 하였습니다.)
즐겁게 사용을 하시고, 이 기술이 좋게 사용이 되는 것을 생각하는 시작이 되기를 바랍니다.
* 단축키 (번역자 추가 부분)
Switch windows = Alt + Tab
Arrange and View All Windows = F12 turns on or off; clicking a window will zoom it to the front
Switch desktops on cube = Ctrl + Alt + Left/Right Arrow
Switch desktops on cube - with active window following = Ctrl + Shift + Alt + Left/Right Arrow
Make window translucent/opaque = right-click the window's title bar and select Opacity
Zoom-in once = Super-key right-click
Zoom-in manually = Super-key + wheel mouse up
Zoom-out manually = Super-key + wheel mouse down
Move window = Alt + left-click
Snap Move window (will stick to borders) = Ctrl + Alt + left-click
Resize window = Alt + right-click
이 문서의 번역 후에 문서 상단에 링크한 우분투 위키의 XglHowto는 몇 번의 업데이트가 있었고, 관련 위키로
compiz 위키가 생겼습니다. compiz 위키에는 여러 개의 새로운 플러그인의 사용에 대한 것이 업데이트 되고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.
![[https]](http://www.ubuntu.or.kr/ubuntu/imgs/https.png)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rep 검색시 검색어 색깔로 표현하기 (0) | 2006.07.19 |
---|---|
rsync를 이용한 소스 백업 (0) | 2006.07.14 |
로지텍 mx510 버튼 사용하기(2) (0) | 2006.06.24 |
로지텍 mx510 버튼 사용하기 (0) | 2006.06.24 |
ubuntu에 automatix 설치하기 (0) | 2006.06.24 |